(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비타민 B12가 우울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핀란드 쿠오피오 대학의 주카 힌티카 박사는 ’BMC 정신병학’ 최신호에 이같은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BBC 인터넷판이 2일 보도했다.
힌티카 박사는 우울증 환자 115명을 대상으로 처음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왔을 때와 6개월 후 두 차례에 걸쳐 혈중 비타민 B12 수치를 측정하고 이를 그 사이의 증세 호전 정도와 비교한 결과 비타민 B12의 혈중 수치가 높은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증세가 현저히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힌티카 박사는 흡연, 음주, 복용하는 항우울제의 종류, 우울증 가족력 등 다른 요인들을 감안했을 때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고 밝히고 이는 비타민 B12가 항우울제의 효과에 상승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항우울제가 잘 듣지 않은 환자들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이 결과는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일 수 있다고 힌티카 박사는 지적했다.
힌티카 박사는 비타민 B12는 모노(單)아민이라고 불리는 물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하다고 밝히고 중추신경계의 모노아민 결핍이 우울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아니면 비타민 B12 결핍이 우울증을 촉진시킬 수 있는 호모시스테인이라는 물질의 축적을 가져오는 것인지도 모른다고 힌티카 박사는 말했다.
그러나 이 결과만 가지고 모든 우울증 환자에게 비타민 B12 보충제를 복용하도록 권고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그는 덧붙였다.
핀란드 쿠오피오 대학의 주카 힌티카 박사는 ’BMC 정신병학’ 최신호에 이같은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BBC 인터넷판이 2일 보도했다.
힌티카 박사는 우울증 환자 115명을 대상으로 처음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왔을 때와 6개월 후 두 차례에 걸쳐 혈중 비타민 B12 수치를 측정하고 이를 그 사이의 증세 호전 정도와 비교한 결과 비타민 B12의 혈중 수치가 높은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증세가 현저히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힌티카 박사는 흡연, 음주, 복용하는 항우울제의 종류, 우울증 가족력 등 다른 요인들을 감안했을 때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고 밝히고 이는 비타민 B12가 항우울제의 효과에 상승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항우울제가 잘 듣지 않은 환자들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이 결과는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일 수 있다고 힌티카 박사는 지적했다.
힌티카 박사는 비타민 B12는 모노(單)아민이라고 불리는 물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하다고 밝히고 중추신경계의 모노아민 결핍이 우울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아니면 비타민 B12 결핍이 우울증을 촉진시킬 수 있는 호모시스테인이라는 물질의 축적을 가져오는 것인지도 모른다고 힌티카 박사는 말했다.
그러나 이 결과만 가지고 모든 우울증 환자에게 비타민 B12 보충제를 복용하도록 권고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그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