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의 생리작용

Mg은 Ca과 마찬가지로 인산염과 탄산으로서 주로 골격 중에 존재하고 일부는 체액속에 함유되어 알칼리성 반응보유에 역할을 한다.

또한 Ca과 길항작용적으로 작용을 하며 Mg은 근육속에도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근의 자극감수성을 높이고 신경에 대한 자극감수성을 억제시킨다.

Mg은 뇌의 작용이나 신경 및 근육에 필요한데 95%의 사람이 부족되고 있다.
신장결석이 생기기 쉬운 사람은 Mg(MgCl2)을 하루에 1g 섭취함으로써 예방이 된다.

1. 정신을 가다듬게 하고 피부를 아름답게 하며 장에서 Ca 흡수에도 불가결하다.

2. 비타민의 흡수에도 없어서는 안된다.

3. 완두콩 등의 식품 외에도 해수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4. Mg의 결핍증은 만성설사에 의한 흡수부전,저단백질과 저에너지에 의한 영양불량 및 알코올 중독에서 생길 수 있다.

5. Mg은 엽록소의 성분이므로 녹황색채소에 많으며 콩류, 경과류, 육류,해조류와 식염 등에 함유되어 있어 식이성 결핍증은 생길 염려가 없다.

6. 한국인의 Mg권장량은 정해져있지 않으나 미국은 성인에게 300-500mg을 권장하고 임부에게는 150mg을 추가하기로 하였다.

증상별 비타민 정보!비타민,글루코사민, 캐나다 1위,캐나다비타민하우스

 

 

마그네슘은 왜 부족한가?

마그네슘이 우리 식생활에서 부족한 것은 정제염을 섭취하며 푸른 잎 채소를 적게 먹는 원인이 있다. 천연염에는 간수의 성분인 황삼마그네슘이 풍부한데 95%가지 정제된 식탁염에는 염화나트륨만이 있다. 또한 푸른 잎 채소류에는 엽록소가 풍부하고 엽록소에는 마그네슘이 있는데, 우리들은 지금 푸른 잎 채소의 섭취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또한 부족하나마 섭취되어 체내에 들어간 마그네슘이 비정상적으로 배설되는 원인은 알코올, 커피의 섭취는 마그네슘의 배설을 촉진하여 결핍을 초래한다. 그 밖에도 화학조미료인 MSG나 이뇨제 등도 마그네슘을 비정상적으로 배설시켜 결핍을 초래한다.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들다리에 쥐가 나는 일이 많은데 이것은 마그네슘의 결핍증상 중의 하나이다.

마그네슘의 중요성

칼슘은 세포 외액에, 마그네슘은 세포 내액에 많으며 두가지 모두 체액의 사ㄴ,알칼리 평형 유지에 꼭 필요하다. 또 벼가 튼튼해지기 위해서도 칼슘과 마그네슘이 함께 도와야 한다. 칼슘과 마그네슘은 협동하기도하고 길항하기도 한다. 칼슘대 마그네슘의 섭취비율은 2:1이 가장 이상적이다. 두가지 다 탄삼염의 형태의 흡수는 불량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마그네슘의 1일 권장량

성인 1일 300-400mg, 수유부는 450mg, 어린아이는 체중 1kg당 6mg이다. 그러나 음주, 커피, 식생활 내용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특히 스트레스의 정도에 따라 필요량도 현저하게 달라진다. 그러므로 마그네슘이 부적한 사람은 칼슘과 함께 충분한 섭취가 필요하다.

마그네슘은 체내의 어디에 존재하는가?

흡수된 마그네슘의 60%는 벼에 존재한다. 그리고 체액 중 총 마그네슘의 99%는 세포 내액에 존재하고 1%만이 세포 외액에 존재한다. 마그네슘은 효소에 관여하여 비타민 C,B군,E 등의 대사를 돕는데 특히 비타민 B6의 대사에 중요하다.

마그네슘의 결핍증

심장병, 고혈압, 신장결석, 암,불면증, 월경전증후군, 피로, 부정맥, 저혈압, 정신착란, 근육경직, 식욕상실, 스트레스 민감성, 뼈 형성 장애, 수족냉증, 청각이상, 보핼장애, 불안, 흥분, 지각이상, 유아의 경련, 근육통, 적혈구 파괴로 인한 빈혈 유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증상별 비타민 정보!비타민,글루코사민, 캐나다 1위,캐나다비타민하우스

,